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 꿀팁

국회의원 비례대표 시장 시의원 임기 및 구성

by 구글지노스 2025. 3. 7.
728x90
반응형

국회의원, 비례대표, 시장, 시의원은 대한민국의 선출직 공직자이며, 각각 역할과 선출 방식이 다릅니다.
국회의원 비례대표 시장 시의원 임기 및 구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국회의원

국회의원은 국회를 구성하는 입법기관으로, 국민을 대표하여 법을 만들고 행정부를 견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총 300명으로 구성

지역구 국회의원(253명) → 각 지역에서 선거로 선출

비례대표 국회의원(47명) → 정당 득표율에 따라 배분



✅ 임기: 4년
✅ 역할: 법률 제정·개정, 예산 심의, 정부 견제 등


---


2. 시장

시장의 역할은 지방자치단체(특별시·광역시·일반시)의 행정을 총괄하는 것입니다.

직접 선거로 선출 (서울특별시장, 부산광역시장 등)

시민의 복지, 도시개발, 교통 등 지역 행정 책임


✅ 임기: 4년
✅ 역할: 지방행정 총괄, 조례 집행, 예산 운영 등


---


3. 시의원

시의원은 지방의회 의원으로, 시의 행정을 감시하고 조례(지역 법률)를 제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지역구 시의원: 각 선거구에서 선출

비례대표 시의원: 정당 득표율에 따라 배분


✅ 임기: 4년
✅ 역할: 조례 제정·개정, 예산 심의, 행정 감시


---


4. 비례대표
비례대표란, 정당 득표율에 따라 배분되는 의원을 의미합니다.

국회의원 비례대표(47명)

정당 득표율에 따라 의석 배분

예: A당이 30% 득표하면 약 14석 확보

일부(30석)는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적용


시의원 비례대표

지방선거에서 정당 득표율에 따라 배정



✅ 목적: 특정 지역에 치우치지 않고, 다양한 계층·전문가의 의회 진출을 보장


---


📌 정리하면:

즉, 국회의원은 국가 법률을 만들고, 시장은 지방행정을 담당하며, 시의원은 지역 조례를 만드는 역할을 하며, 비례대표는 정당 득표율에 따라 선출되는 제도입니다!

 




추가로 국회의원과 시장 중 높은 지위는?


✅ 국회의원 → 입법부(국회) 소속
✅ 시장 → 지방정부(지자체) 소속

직급이나 서열상 누가 더 높다기보다는, 역할과 권한이 다릅니다.


---


① 권한과 역할 비교

➡ 국회의원은 국가 법을 만들고, 시장은 해당 지역을 운영하는 행정 책임자입니다.



② 누가 더 높은가?

1. 국가 단위에서 보면 국회의원이 더 영향력이 큼

국회의원은 국가 법률과 예산을 결정할 수 있음.

법을 만들어 시장의 권한을 제한할 수도 있음.



2. 지역 단위에서는 시장이 더 권한이 큼

시장은 해당 도시의 예산을 편성하고 정책을 결정하는 행정 최고 책임자.

국회의원이 시장에게 직접 명령할 수는 없음.



3. 행정직급으로 보면 시장이 ‘행정부’ 소속이라 국회의원보다 낮아 보일 수도 있음.

그러나 실제 권한은 상황에 따라 다름.

예를 들어, 서울특별시장은 국가 주요 정책에도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


---


③ 결론

✅ 국회의원: 국가 법률과 정책 결정에 영향력이 큼.
✅ 시장: 특정 지역의 정책과 행정을 담당하는 최고 책임자.
✅ 누가 더 높다고 단정할 수 없으며, 역할이 다름.


즉, "국회의원이 시장의 상급자는 아니지만, 국회의 결정이 시장의 권한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이해하면 됩니다!

 

이상으로 국회의원 비례대표 시장 시의원 임기 및 구성 포스팅을 마칩니다 :D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