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 꿀팁

근로자의날 휴무, 공휴일은 아니지만 근로기준법 상 유급휴일

구글지노스 2025. 5. 1. 12:04
728x90
반응형

근로자의 날(노동절, Labor Day)에 대한 역사와 유래, 한국에서의 지정 배경, 현재의 의미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아래에 정리해 드릴게요.

 


 

✅ 근로자의 날(노동절)의 역사와 유래

 

🌍 국제 노동절의 기원

 

  • 시작 배경:
    19세기 산업혁명 이후, 미국을 비롯한 자본주의 국가들에서는 노동자들이 하루 12~16시간의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고 있었고, 임금도 매우 낮았습니다.

 

  • 시카고 헤이마켓 사건 (1886년):
    1886년 5월 1일, 미국 시카고의 노동자들이 "하루 8시간 노동제"를 요구하며 대규모 총파업을 벌였고, 이 과정에서 유혈 충돌이 발생.
    이후 5월 4일 벌어진 시위 도중 경찰과 시위대 간의 충돌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헤이마켓 사건).

 

  • 국제 노동절 제정 (1889년):
    1889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 인터내셔널 회의에서 5월 1일을 국제 노동자의 날로 지정.
    이로써 전 세계 노동자들이 연대하고 권익을 주장하는 날로 자리 잡음.

 


 

한국 근로자의 날 역사

 

📌 초기 도입과 식민지 시대

  • 1923년 조선노동총동맹이 처음으로 5월 1일을 노동절로 기념.
  • 일제 강점기 당시엔 탄압으로 인해 공식적인 기념이 어려웠음.

 

📌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 1958년 제정된 노동조합법 제정을 통해 노동절 기념 가능해짐.
  • 1963년 3월 10일,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 제정.
  • 이 법에 따라 1964년부터 5월 1일공식적인 근로자의 날로 기념.

 

📌 "근로자의 날" 명칭으로 바뀐 배경

  • ‘노동자’보다 상대적으로 부드럽고 순응적인 느낌을 주는 ‘근로자’라는 표현이 1960~70년대 개발독재 정권 하에서 의도적으로 사용됨.
    즉, 정치적 이유로 ‘노동자의 날’이 아닌 ‘근로자의 날’로 명칭이 굳어짐.

 


 

📅 근로자의 날은 법정 공휴일인가?

 

  • 공휴일은 아님.
    •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상에는 포함되지 않음.
    • 하지만 근로기준법 제55조에 의해 근로자에게는 유급휴일로 보장됨.

 

✅ 유급휴일로서의 의미

  • 회사는 근로자에게 이 날을 유급으로 쉬게 해야 함.
  • 공무원, 교직원 등 공무직군은 해당되지 않음.
  • 단, 근로계약, 단체협약, 취업규칙 등에 따라 적용이 다를 수 있음.

 


 

🎉 근로자의 날의 현재적 의미

 

  • 노동자들이 사회·경제 발전에 기여한 점을 기리고, 노동의 가치와 권리를 되새기는 날
  • 노동조합과 시민단체들이 행진이나 문화제 등을 열기도 함
  • 임금인상이나 근로조건 개선을 요구하는 계기로 활용되기도 함

 


 

💬 근로자의날 정리 요약

 

기원 1886년 미국 시카고 헤이마켓 노동자 총파업
국제 지정 1889년 프랑스에서 제2 인터내셔널이 5월 1일을 노동절로 제정
한국 최초 기념 1923년 조선노동총동맹 주도
공식 지정 1963년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 제정, 1964년 첫 공식 기념
명칭 이유 ‘노동자’보다 온순한 이미지의 ‘근로자’ 사용
휴일 여부 공무원은 해당 없음, 일반 근로자는 유급휴일로 보장됨
현재의 의미 노동자의 권리와 기여를 기념하고, 노동 환경 개선의 날

 


 

이상으로 근로자의날 휴무, 공휴일은 아니지만 근로기준법 상 유급휴일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D 근로자의날 역사와 배경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니 좀 더 소중한 하루가 될 것 같네요~

728x90
반응형